거버넌스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논의하고 문화도시를 추진하기 위해 나눈
다양한 의견들을 기록합니다.
안녕하세요, 문화도시사무국입니다.
<존중문화도시 도봉 기본교육> 8-9월 프로그램 강연에 쓰인 발표자료를 공유드립니다.
발표자료는 모두 pdf로, 게시글 최하단 첨부파일 확인부탁드립니다. 저작권상 9/1(수) 강윤주 교수님의 자료는 공유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.
첨부한 발표자료 중 최창희 소장님의 자료는 오늘 있을 문화기획 사례 발표자료이므로, 강연 시청하실때 참고 부탁드립니다.
감사합니다.
ㅁ <존중문화도시 도봉 기본교육> 8-9월 프로그램 개요
❍ 8/27일 (금): 영등포 및 강릉 문화도시 사례
행사명 | 존중문화도시 도봉 기본교육 : 문화도시 사례 | |
강연자 | 박만식(영등포문화재단 문화도시정책팀 팀장) | 지금종(강릉문화도시센터장) |
제목 | 영등포 문화도시, 함께 만드는 여정 | 강릉 문화도시 비전 설정 및 시민 주체 형성 과정 공유 |
개요 | 도시 영등포의 특성과 문화도시로 추진과정 | 강릉 비전 설정 과정 및 강릉 문화민회 성장 과정 |
내용 | 1) 도시 영등포의 특성 소개 2) 영등포 문화도시계획 사례 공유 3) 영등포 예비문화도시의 과정 사례 공유 | 1) 문화도시 사업 과제 및 문화도시 비전 설정 과정 공유 2) 강릉 라운드테이블 운영 방법과 성장 선순환 구조 형성 사례 공유 - 라운드테이블 운영 - 소셜 다이닝 및 네트워크 창의파티 운영 - 시민 자율예산제 ‘작당모의’ 사업 운영 등 |
❍ 9/1일 (수): 장애인 및 생활예술 관련 문화기획 사례
행사명 | 존중문화도시 도봉 기본교육: 분야별 문화기획 사례 | |
강연자 | 최창희 (철학박사, 감성정책연구소 소장) | 강윤주(경희사이버대학 문화예술경영교수) |
제목 | 근대도시와 장애, 그리고 장애예술 |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활예술 |
개요 | 근대사회에서의 장애의 문제를 논의하고, 신체 역량이라는 문제 속 장애를 이해하며 장애를 통한 인간탐구와 나아가 세계이해로 이해할 수 있는 장애예술을 살펴본다. | 코로나를 거치면서 발견하게 된 공동체의 중요성, 생활예술은 공동체 형성 및 지속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? |
내용 | 1) 근대도시와 장애 : 생명관리 정치로서 장애와 신체의 문제 - 현대철학에서의 이성과 신체 - 건강과 정상의 범주와 푸코의 생명관리정치 2) 현대예술과 장애미학 - 신체역량에 관한 영화와 현대예술 - 장애예술과 장애미학 | 1) 기후위기와 공동체 2) 왜 지금 공동체인가? 3) 로컬 크리에이터의 역할 |